Stains of Love

Park Soo Jin(Science of arts, art critic)


The previous video works by Lee, Seung Jun are characterized by repetitive movements of a delivery man who’s moving left to right, a yoyo moving up to down, or a series of trains that go by. He does not focus on who that person is or how fast the train is—he just focuses on and “observes” the “repetitive” movements.
You can see the style in his picture After Love: Broken Up Couples Project. He makes a chance for broken up couples to see each other, and he makes a repetitive movement of taking pictures of them. But he is not voyeuristic but rather impulsive in his observation. That’s because it is unimportant for him to know how they met, loved and parted each other—these are all trivial matters to him. What’s important is a series of pictures of the broken couples. So what does he wants to find through the awkward meeting of people who parted? My answer to this question—what was Lee, Seung Jun seeking through his work, After Love—is love. But he is showing us what love is by showing people without any love. What is love? Lacan said it is impossible to say something about love we may understand. Perhaps Lee, Seung Jun realized that we in fact become silly when we talk about love. Although impossible to say, he wanted to show what love is through an indirect way.
Why are we attracted and fascinated by other person? What is the mechanism of falling in love? Spinoza, Malebranche and Lacan all said the noblest moment in love is when someone who’s loved demonstrates the metaphor of his or her love. Someone who loves wants to be loved in return. But who is the one that loves, and who is the one that is loved? Someone who loves does not have something, but does not realize what he doesn’t have. So he or she is the person of deficiency and desire. On the other hand, the loved one does have something to make him or her attractive, but does not know what it is. What someone who loves doesn’t have, which is why love is there, is not something hidden inside the loved one. Love comes from fundamental inconsistency between what I imagine about myself and what the person who loves me sees in me. So love is close to desire. You can never see someone with the very reason of love, but you can still love someone in reality. In other words, the metaphor of love is to return his love as a return if you think you have nothing to make him love yourself. And metonymy of love is to change the loved person into the person who loves. What makes it possible to love someone is an “objet a”, an attractive something which is lost.
But love is not only about desire but also about impulsion. Especially, Lee Seung Jun’s this project is focusing on love in terms of impulsion. As you can never fill a space of illusion or desire, love leaves a space that cannot be filled, although many believe they can. So they keep making choices. Lee Seung Jun sees impossibility of love by observing the broken couples that have no more illusion to each other. His pictures have something that can’t be expressed in words—the stain of love. He attempted to encounter the reality of love not by attractiveness of an “objet a”, but by shabbiness of love that lost illusion. By showing satisfied impulsion from a series of pictures of parted couple, and making us encounter pain of love filled with desire, he managed to capture the jouissance of love.



  사랑의 얼룩들

박수진(예술학, 미술평론가)


이승준의 이전 영상작업들은 쉼 없이 배달을 하는 사람의 끊임없는 좌우운동, 요요의 상하운동, 쉼 없이 오가는 기차 등 반복적인 움직임이 두드러진다. 그는 배달을 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기차의 빠른 움직임에는 관심이 없다. 그는 “반복”에 주목하고 “관찰”한다.
그 같은 작업방식은 이번 <After Love: Broken Up Couples Project>의 사진에서도 보여진다. 그는 헤어진 커플들을 어색한 만남을 주선하고 그들의 모습을 관찰자 시점에서 화면에 담는 반복적인 행위를 한다. 그러나 그의 관찰은 관음적이지 않고 충동적이다. 왜냐하면 그에게 헤어진 커플이 어떻게 만났고 얼마나 사랑을 했으며 어떻게 헤어졌는지, 그런 시시콜콜한 사랑이야기는 중요하지 않다. 다만 헤어진 커플들의 반복적인 사진 자체가 중요할 뿐이다. 이렇게 집요하다 못해 지루하리만치 반복되는 헤어진 커플의 어색한 만남 속에서 그는 무엇을 발견하고 싶은 것일까?
이승준이 After Love에서 발견하고자 한 것은 사랑의 모습이 아닐까 한다. 다만 그는 사랑이 무엇인지를 사랑을 빼고 사랑에 대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사랑이란 무엇일까. 라깡은 사랑에 대해서 알아들을 수 있는 무엇인가를 말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이승준은 사랑에 말하기 시작하는 순간 우둔함 속에 빠져들고 만다는 사실을 알아챈 것일까. 그는 무엇인지 말하는 것이 불가능한 사랑이지만 우회적인 방법을 통해서라도 보여주고자 한 것이다.
우리는 왜 다른 인간에 매혹되는가? 사랑에 빠지는 메카니즘은 무엇일까? 스피노자도 말브랑슈도 라깡도 사랑의 가장 숭고한 순간은 사랑받는 자가 사랑의 은유를 실연할 때라고 말한다. 즉 사랑하는 자는 응답으로 자신의 사랑을 되돌려 받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사랑하는 자는 누구이며 사랑받는 자는 누구인가? 사랑하는 자는 무엇인가를 결여하고 있는, 그러나 결여된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결여의 주체이며, 욕망하는 주체이다. 반면 사랑받는 자는 무엇인가를 가지고 있지만 자신을 매력적이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사랑의 원인으로 사랑하는 자가 결여하고 있는 것은 사랑받는 자의 내부에 숨겨진 그 무엇이 아니다. 사랑을 낳는 것은 사랑하는 자인 타자가 내 안에서 보는 것과 사랑받는 자인 내가 나 자신에 관해 상상하는 것 사이의 근본적인 불일치에서 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랑의 관계는 욕망의 방식과 유사하다. 사랑의 내재적 원인을 포함하는 대상은 현실에서 결코 만나지 못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현실의 일부인 어떤 유한한 대상을 사랑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사랑의 은유란 내가 어떤 사람에게 사랑받을 아무런 원인 제공하지 않았다고 믿는다면 나는 응답으로 그의 사랑을 되돌려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랑의 환유는 사랑받는 자가 사랑하는 자의 입장으로 대체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상실된 대상이며 동시에 매혹적인 대상인 오브제 a이다.
그런데 사랑은 욕망의 문제에만 한정되는 게 아니라 충동의 차원을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이승준의 이번 프로젝트는 충동의 문제에서 사랑을 주목하고 있다. 환상으로 혹은 욕망으로 결여된 것을 결코 메울 수 없듯이 사랑의 대상은 결여를 메울 수 있는 존재로 상상되지만 결코 결여를 메울 수 없다. 그래서 끊임없이 선택을 반복한다. 이승준은 이미 콩깍지가 벗겨져 버린 헤어진 커플들을 통해서 사랑의 불가능성의 한복판에서 서있다. 그의 사진들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무엇, 사랑의 얼룩들과 대면하는 것이다. 그는 오브제 a의 매혹이 아니라 사랑이라는 절대성이 허물어져 버린 비루함을 통해 사랑의 실재와 마주하고자 한 것이다. 이승준은 헤어진 커플들의 반복된 사진들의 순환들에서 충동의 만족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욕망의 회로 속에서 사랑의 고통을 마주하게 함으로써 사랑의 주이상스를 포착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