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s works have a monotonous, repetitive movement. The motive of the movements in his works include a pattern of a specific movement such as trains going by, a jellyfish swimming, or a yoyo moving up and down. He does not follow dynamic aesthetics of the movement itself or a narrative of the movement; he keeps his eyes on the most essential "structure" of the movement. It appears that he is considering a law of the phenomenal world that causes the "movements."

Lee's works have very monotonous actions and observational view, and what makes them dynamic is the concept of time. His images consist of the successive sequence like a movie, but they don't follow the physical concept of time that gives a time base to a frame. For example, The Tao of 7th Train makes the separate movements of the trains leaving the station at different time into one successive movement by editing the pictures he took at a single spot. It looks like a train running on the rail is transcending a time, and different backgrounds―daytime, dawn, and sunset―of the images make us see the movements of the trains as a circulation―leaving for somewhere, and coming back. We see the running train in a physical place which is a part of everyday life, but we follow the path of the train, experiencing the different time as a single incident. This is how we experience an expanded dimension transcending a reality.

Change in scenery and circulation are two biggest themes in Lee's works. Every motive seen from his work, including trains, smoke, water, and yoyo, is the metaphor delivering images of flow, and movement. Lee divided a scene into the sceneries with totally different time and space at Cross Wave and YoYo Time. From Cross Wave, he shows that existential individual consciousness continually move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emotional and social, memories and reality―through shifts in backgrounds between his own room and others' space. And from YoYo Time, he metaphorically implies the law of the phenomenal world, that a substance continuously changes and circulates by energy movements, by a yoyo which changes its space at the moment it reaches the peak or the bottom.

From Ascent & Descent, he implies the circulation of energy in the phenomenal world in a more direct way. In the first part, an image of Digital Cell, reminding us of dynamic explosion of energy before the Creation, changes into a silent blue background, then comes an image of human body. The scene is divided into two―one for the Digital Cell such as cells, liquid or energy quantum, and the other for an image of solid human body. Two sectors shows an organic movement that "one ascends, and the other descends," as same as a scale. As the left scene of structures in human body becomes blurred, the right scene shows the complete shape of human body. This seems like a law of energy movement causing change in both when energies with same mass are saturated, which happens for water, vapor and an ice.

As we can see from Ascent & Descent, what characterizes Lee's works is a way he expresses the movement of energy. He compactly shows the process of "moving toward the peak" in his works including noise and the trains' movement from The Tao of 7th Train, swimming jellyfish from Concrescence, and the speed of changing clothes from Repose. Silent and relaxed start, the repetitive movement adding speed, the most dynamic climax, dissolu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start of new dimension―this process of the pattern of energetic movement bound for increasing entropy and the circulation of dissolution and rebirth throughout time is what Lee shows us, making us see the law of the universe which exists at the base of every physical phenomenon.

Lee's works shows the comprehensive reality combining various dimensions, and the images in his wor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in a general reason, not separate criteria. In a comprehensive view, rise and fall are the same phenomenon and there is no superordinate concept. The two with oppositive status are seemingly different, but essentially lie at the same huge cycle of the energy which changes its form and moves on perpetually. 나Lee's view of the world is expressed at Cross Wave or YoYo Time where the two dimensions are integrated into one. His idea that every change is the same in a whole and everything is repeated perpetually, just like an aura found at Cross Wave, might make us feel we belong nowhere in reality and wander from place to place. But his idea also includes a new start, thus it is not vain and futile, but it suggests a bright prospect of our lives at a higher dimension.

Lee, Eun Joo (Art Critic)



이승준의 작업에는 단조롭고 반복적인 움직임이 등장한다. 그의 작업에 나타나는 움직임의 모티프들은 쉼없이 오가는 기차, 해파리의 수중유영, 요요의 상하운동과 같이 특정한 동작의 패턴을 내포하고 있다. 작가의 시선은 움직임 자체의 다이내믹한 미학이나 동선의 내러티브를 따라가지 않고, 사건을 구성하는 행위의 가장 핵심적인 구조를 끈기있게 주시한다. 그는 이를 통해 ‘운동’을 필연적으로 발생시키는 현상계의 법칙을 통찰하고 있는 듯하다.
지극히 단조로운 행위와 관찰자적인 시선으로 구성된 이승준의 작업에 역동성을 부여하는 것은 다름 아닌 시간의 개념이다. 그의 영상은 마치 영화와도 같이 연속된 시퀀스로 이루어지지만, 하나의 프레임에 하나의 시간축을 부여하는 물리적인 시간개념을 따르지 않는다. 일례로 <The Tao of 7th Train>은 역에서 출발하는 기차를 한 장소에서 오랜 기간 촬영한 후, 각각 다른 시간대에 속한 기차의 이동을 마치 하나의 사건처럼 이어서 편집한 작품이다. 레일 위를 달리는 기차는 시간의 층을 가로질러 전진하는 것처럼 보이며, 분할된 화면들 속에는 낮, 새벽, 해질녁, 변화되는 계절의 배경이 공존함으로써 어디론가 떠나고는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기차의 움직임을 영속적인 순환의 행위로 읽혀지게 한다. 관람자는 일상의 일부인 물리적인 공간 속에서 움직이는 기차를 바라보지만, 기차의 전진 행로를 따라 각기 다른 시간적 상황을 마치 하나의 사건처럼 경험하게 됨으로써 현실을 뛰어넘는 보다 확장된 차원으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공간의 이동과 순환은 이승준의 작업에 나타나는 중심적인 테마이다. 그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기차, 담배연기, 물, 요요와도 같은 모티프들은 모두 흐름과 이동의 이미지를 전하는 메타포이다. 한가지 씬(scene)을 전혀 다른 시공간적 배경의 분할화면으로 나누는 방식은 <Cross Wave>나 <YoYo Time>에서도 등장한다. 작가는 <Cross Wave>에서 자신의 방과 타인 속의 공간을 오가는 배경의 이동을 통해서 실존적인 개인의 의식이 심리적 공간과 사회적 공간, 기억과 현실과도 같은 내적 차원과 외적 차원 사이를 끊임없이 오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YoYo Time>에서는 요요의 반복적인 상하운동이 정점에 이르는 순간 공간이 이동하는 모습을 통해서, 에너지 운동에 의해 물질이 지속적으로 변화되며 순환하고 있는 현상계의 규칙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현상계의 에너지 순환에 대한 암시는 <Ascent & Descent>에서 좀더 직접적으로 나타난다. 작품의 초입부에서 천지창조 직전의 역동적인 에너지 폭발을 연상시키는 디지털 셀(Digital Cell)의 이미지는 고요한 푸른 화면으로 변화되고, 이어서 인체의 이미지가 등장한다. 화면은 두개로 분할되어 한쪽에는 세포나 액체, 혹은 에너지 양자와도 같은 디지털 셀의 이미지가, 또 다른 한쪽에는 견고한 형태를 가진 인체의 이미지가 나타난다. 이 두 상태는 마치 저울의 양측처럼 한쪽이 상승하면 다른 한쪽이 하강하는 유기적인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왼쪽에 있던 인체의 조직들이 조금씩 밀도가 약해지면서 윤곽선이 와해되어가면 오른쪽의 화면은 점차로 인체의 형태를 갖추어 나간다. 이러한 이동은 현상계에 존재하는 물과 수증기, 얼음의 관계처럼, 동일한 질량의 에너지가 포화상태에 이르러 양태의 변화를 일으키면서 이동하는 에너지 법칙을 표현하는 듯 하다.
<Ascent & Descent>에서 볼 수 있듯이, 에너지의 진행상태에 대한 표현은 이승준의 작품에서 특별히 인상적인 부분이다. <The Tao of 7th Train>에서의 기차의 움직임과 소음, <YoYo Time>의 요요운동, <Concrescence>에서 보여지는 해파리의 유영, <Repose>에서 나타나는 옷 갈아입기의 속도 속에는 모두 정점을 향해가는 운동의 진행과정이 압축적으로 담겨져 있다. 조용하고 느린 시작, 가속적으로 빨라져가는 반복운동, 가장 동적인 클라이막스, 구조의 해체와 새로운 차원의 시작. 이러한 과정은 필연적으로 엔트로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진전되는 에너지 운동의 패턴, 그리고 소멸과 재탄생을 반복하는 초시간적 순환을 보여줌으로써 관람자로 하여금 물리적 현상의 저변에 존재하는 범우주적인 법칙을 바라보게 하고 있다.
이승준의 작업은 이처럼 다양한 차원들을 결합해주는 포괄적인 리얼리티를 보여주고 있기에, 작품 속의 이미지들 역시 개별적인 범주가 아닌 보편적인 이치 속에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승과 하강은 통합적인 관점에서 볼 때 동일한 같은 현상이며, 상호위계적인 개념이 아니다. 이러한 두개의 대립적 위상은 에너지가 양태를 달리하면서 영속적으로 이동하듯, 외견상 다르면서도 본질적으로는 거대한 주기 속에 함께 놓여져 있는 것이다. 작가의 이러한 세계관은 이원적 차원이 하나의 화면으로 통합되는 <Cross Wave>나 <YoYo Time>의 마지막 장면을 통해 표현된다. 전체성 안에서 모든 변화가 동등하며, 모든 것이 영속적으로 반복된다는 관점은 <Cross Wave>에서 발견되는 아우라처럼 현실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영원히 떠도는 듯한 무상함을 느끼게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언제나 새로운 시작으로 회귀되는 순환을 전제하기에, 실존적인 허무에 머무르지 않고 보다 높은 차원에서의 조망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은주 (미술사)